[멀리서 다가오는 斷想] 연상법과 방향성

2022.03.22 06:22:57


   김삼기(1959) / 시인, 칼럼니스트

 

전혀 연관이 없는 단어 12(1투수, 2김연아, 3암벽, 4법원, 5낙동강, 6국회의원, 7치맥, 8간호사, 9미국, 10원자폭탄, 11죽음, 12병원)를 순서대로 외우기는 무척 어렵다.

 

그러나 우리가 평소에 순서대로 잘 기억하고 있는 신체부위 12(1발바닥, 2발톱, 3발등, 4발목, 5종아리, 6무릎, 7허벅지, 8엉덩이, 9, 10배꼽, 11명치, 12가슴)에 위 12개의 단어를 적용하여 연상하면, 순서대로 외우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

 

아래와 같이 한 번만 연상하면 된다.

 

발바닥(1)이 건강한 투수(1)가 균형을 잘 잡는다.

발톱(2)이 빙상경기장 같아 은반 위의 김연아(2)가 생각난다.

발등(3)은 산악인이 암벽(3)하기 쉬운 바위 같이 생겼다.

발목(4)에 쇠사슬이 달린 죄인들이 법원(4) 마당에 모여 있다.

종아리(5)에 알이 베기면 낙동강(5) 오리알이 생각난다.

무릎(6) 꿇고 국민에게 사죄하는 국회의원(6)들의 모습이 안타깝다.

허벅지(7)를 치면서 캬- 하는 소리를 내며 치맥(7)을 먹는 광경이 멋지다.

엉덩이(8)는 간호사(8)가 주사 놓기 좋은 곳이다.

(9)로 우리나라 상품이 미국(9)으로 수출되고 있다.

배꼽(10)이 원자폭탄(10)이 투하된 곳같이 움푹 패였다.

명치(11)를 맞는다는 것은 죽음(11)이다.

가슴(12)이 아프면 흉부외과 병원(12)에 가야한다.

 

그리고 이제 신체부위에 적용된 12개의 단어를 순서대로 연상하여 연상법으로 기억해내면 된다.

(당장 시험해보면 누구나 순서대로 쉽게 외울 수 있을 것이다)

 

연상(聯想)은 하나의 단어나 생각이 다른 단어나 생각을 불러일으키는 현상으로, 위 예처럼 연상법을 활용하면 기억능력을 높일 수 있다.

 

연상법의 핵심은 익숙한 것에 익숙하지 않은 것을 적용하여 익숙하지 않은 것을 기억해내는 그 방향성에 있다.

 

연상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익숙한 것들의 조합을 많이 알고 있어야 하고, 두 번째는 적용하는 능력도 있어야 한다.

 

우리 삶 속에서도 익숙하지 않은 것에 익숙한 것을 적용하기 보다는 익숙한 것에 익숙하지 않은 것을 적용함으로써, 익숙하지 않은 것까지도 포용하는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사회의 가치도 정당에 상관없이 우리에게 익숙한 보수의 가치에 진보의 가치를 적용해야지, 진보의 가치에 보수의 가치를 적용하면 우리 사회가 불안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어제 고향 후배와 부대찌개를 먹으면서 50여 년 전 고향 이야기를 함께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처음에는 우리가 당시 고향 친구나 선후배 이야기와 고향 마을에서 벌어진 크고 작은 사건들을 이야기하면서, 서로 기억이 잘 안나고,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꽤 있었다.

 

그런데 30분쯤 지난 후, 어린시절 후배와 내가 함께 했던 스토리 위주로 대화를 하다 보니, 당시 후배와 나 사이에 끼어들었던 사람들의 이야기와 마을에서 벌어진 사건들이 기억나기 시작했다.

 

우리는 서로에게 익숙한 이야기를 하면서 익숙하지 않은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와 사건들을 끄집어냈고, 그래서 50여 년 전의 일들을 대부분 기억해낼 수 있었다.

 

나는 익숙한 후배를 보는 순간 연상법으로 익숙하지 못한 50여 년 전의 고향을 떠올릴 수 있었고, 후배도 자신에게 가장 익숙한 자신의 인생여정을 이야기하면서 후배 주변에서 일어났던 모든 상황을 기억하고 있었다.

 

익숙한 것에서 익숙하지 않은 것으로 접근해야 하는 우리 사회의 방향성을 연상법과 어제 후배와의 만남을 통해 깨달을 수 있었다.

 

[단상]

연상법을 활용해서 순간적인 재치를 발휘해보는 오늘 하루가 되시기 바랍니다.

   

 

물류on뉴스 기자 kmpress@daum.net
Copyright @2015 물류on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주)물류on뉴스 | 서울 강서구 마곡중앙로59-21 819호 | 등록번호 : 서울, 아 03967 | 등록일: 2015.11.5 | 발행일: 2015.12.1 전화 02-6347-1387 I 팩스 02-718-5700 I 발행인 신재명 I 편집인 김삼기